시간을 재는 방법(해시계, 물시계)

반응형

지금 시계가 없다면 약속시간에 늦거나 학교에 늦게 가서 많은 혼란이 있을 것입니다.

시계가 없었던 옛날에는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요?

우선 해를 이용한 해시계가 있습니다. 

앙부일구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조선시대에 인기가 많았고 사용하기 편리했습니다.

움푹 들어간 솥모양(가마솥 부 ) 같이 생겨서 시계판이 하늘을 우러러 보고 있는(우러러볼 앙 仰) 해(해 일 日)의 그림자(그림자 구 晷)를 보는 시계입니다.

가운데 바늘이 영침으로 해의 그림자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오목한 시계판 솥에는 가로세로로 많은 줄이 있는데, 

세로선은 현재 시각을 알려주고, 가로선은 계절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나중에는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만들어 가지고 다닐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단점은 해가 없거나 비가 오면 전혀 사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만든 것이 물시계 즉 자격루입니다.

물이 차면 원통 속에 있는 잣대가 떠올라 구슬을 건드리면 굴러가서 큰 구슬을 건드립니다. 

큰 구슬이 움직이면서 정해진 시간에 종, 징, 북이 저절로 울리도록 고안되었습니다.

물이 일정하게  떨어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에 스스로 부딪쳐 소리를 내어 시간을 알리는 자격루는 시각을 자동으로 알려줘서 사용하기 편리해졌습니다.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조, 사도세자, 정조의 3대  (0) 2018.08.02
측우기에 대하여  (0) 2018.07.27
통일신라의 발전  (0) 2018.06.26
신라의 삼국통일  (0) 2018.06.24
신라와 가야의 발전  (0) 2018.06.24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