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쉬운 광해군

반응형

광해군은 선조의 후궁 소생으로 둘째 아들인데도 15대 왕위에 오릅니다. 하지만 광해군은 북인 정권을 반대하던 서인들에 의해 쫓겨납니다. 죽은 후에도 조나 종의 묘호를 받지 못하고 군이란 칭호로 불리워 집니다. 여기서 묘호란 왕이 죽었을 때 생존의 업적을 참고로 하여 왕의 칭호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왕이 살아 있을 때에는 주상 전하, 상감 마마 등으로 불리워지다가 왕이 죽으면 또 다른 칭호를 사용합니다. 죽은 왕에게도 주상전하, 새로 등극한 왕에게도 주상 전하 둘 다 똑같이 부를 수 없기에 새로운 호칭인 묘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조선 대부분의 왕들은 조나 종의 칭호를 받았는데 광해군은 후군 소생의 왕자라는 뜻으로 군이라는 칭호를 받게 됩니다. 그것은 아마 서인정권에게 쫓겨나 새롭게 정권을 잡은 사람들이 전임금을 깎아 내리려고 쓴 호칭일 것입니다.

 선조는 정실 부인은 있었으나 그 사이에 아들이 없었습니다. 그런 정실 의인왕후가 선조가 50대일 때 죽습니다. 중전이 비었으므로 중전을 간택하는데 김제남의 딸인 인목왕후가 중전이 되었습니다. 이때 인목왕후의 나이는 불과 19살 이었으니 선조의 아들 광해군보다도 아홉살이나 어렸습니다. 어머니의 나이가 아들보다 어린 셈입니다. 선조의 나이는 이미 50대인데 중전은 19살 어찌보면 잘 어울리지 않는 조합이었으나 신통하게도 아들이 태어납니다. 그 당시 나이 50대이면 지금이야 한창이지만 그때는 노인에 속했습니다. 그런데 꿈에도 그리던 적자가 태어난 것입니다. 그가 바로 영창대군인데 선조는 너무나 기뻐하며 애지중지하였습니다. 선조는 광해군을 제쳐두고 영창대군으로 다음 보위를 물려줄 생각까지 합니다. 하지만 그때 임진왜란이 일어납니다. 왕이 난리 중에 죽을수도 있으므로 서둘러 세자를 책봉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선조의 뜻과는 맞지 않게 광해군을 세자를 책봉한 것입니다.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은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의병활동을 살펴보고, 국력을 모으는데 힘을 쏟았습니다. 혼자만의 생각이지만 아마 선조가 광해군으로 세자를 책봉한 이유가 어쩔 수 없었다는 것도 있었으나, 전쟁 중에 광해군이 죽으면 영창대군으로 세자를 삼으려고 생각하지 않았나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럴 정도로 광해군은 전장을 누비고 다닙니다.  임금은 의주로 몽진했으나 세자는 백성들을 보살피고 의병활동을 독려하니 세자의 인기가 점점 올라갑니다. 선조는 그래도 영창대군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합니다. 하지만 1608년에 선조가 죽습니다. 만약 선조가 더 오래 살았다면 영창대군이 임금이 되었을 것입니다. 인목대비도 영창대군을 올리고 싶어했겠으나, 너무 어려 광해군으로 왕위에 올린다는 교서를 발표합니다.

 15대 왕 광해군이 임금이 되었습니다. 전쟁 후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고자 대동법을 시행하고, 허준을 시켜 동의보감도 완성하였습니다. 임진왜란으로 황폐화된 궁궐을 보수하고 각종 무기도 정비하여 국력을 강화하는데 노력하였습니다. 또 실리를 중시한 광해군은 중립외교를 시행하였습니다. 명의 쇠퇴를 틈타 북방에는 여진족들이 힘을 키우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세를 키워 후금이라는 나라를 세웁니다. 명은 후금과의 전투에서 조선에게 원병을 요구합니다. 하지만 조선의 광해군은 어쩔 수 없이 참전을 시키되 전장의 상황을 보아가며 싸우라고 비밀 지시를 내립니다. 그렇게 참전한 강홍립은 싸우는 척하다가 후금에 투항하고 맙니다. 그래서 후금과 조선은 친선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유교적 윤리를 중시했던 서인은 이를 맹비난하였습니다. 또 광해군은 인목대비를 유폐시키고 영창대군을 구이고, 임해군도 죽였습니다. 윤리를 중시하던 서인의 입장에서는 이해가 되지 않는 일들이었을 것입니다.

 그러다가 서인들은 힘을 모아 유교적 윤리를 저버렸다는 이유로 광해군을 몰아냅니다. 그리고 강화도로 유배를 보냅니다. 광해군을 수발하던 사람들이 영감이라고 부르며 멸시를 해도 꿋꿋하게 질긴 목숨을 이어갑니다. 아마 다시 왕위에 오를 수 있다는 희망이 있어서 그런것이 아닌가 추측해 봅니다. 광해군이 좀더 대비를 하여 인조반정을 미리 차단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실제 이이반이 고변으로 정변 사실을 미리 알았는데도 연회를 하던 광해군은 그저 흘려 들었던 것입니다. 바로 연회를 멈추고 관련자들을 색출하였다면 인조반정은 시작도 되기 전에 진압되었을 것인데 말입니다. 반정 가담자들은 이판사판으로 예정대로 군사를 일으켜 궁궐로 들어옵니다. 그리하여 안국신의 집에 숨어 있던 광해군을 포박합니다. 계속 광해군이 집권했다면 후금과의 관계를 중시했으므로 정묘호란이나 병자호란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예측해 봅니다. 백성들이 전쟁의 2번이나 전쟁의 참상을 겪게 한 무능한 왕이 어쩌다가 정변을 일으켜 왕이 되어 백성들의 삶을 고달프게 했는지 안타깝습니다. 국제 정세를 냉철하게 판단하게 백성의 삶을 편안하게 하려고 했던 광해군은 저에게 아쉬운 마음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일천하 갑신정변  (2) 2018.06.17
의롭고 자애로운 의자왕  (0) 2018.06.13
효종의 북벌론에 대해  (0) 2018.05.31
조선 과거시험의 꼼수들  (0) 2018.05.26
조선의 과거시험 무과에 대하여  (0) 2018.05.26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