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 삼전도의 굴욕

반응형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시 일본은 명을 치러 가니 조선에 길을 빌려달라고 합니다. 조선은 얼토당토않은 일본의 요구를 묵살해 버립니다. 일본은 곧 침입하여 임진왜란이 발발하는데 이때 우리를 돕기 위해 명나라가 나섭니다. 아니 돕는다기보다는 일본이 정명가도라고 하였으니 일본을 조선에서 막아내려는 명나라의 속셈도 있었겠지요. 또 바다에서는 이순신, 각 지역에서는 의병들이 일본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냅니다. 이런 혼란을 틈타 강성해진 후금은 명나라의 영토를 야금야금 먹어갑니다. 이에 위기를 느낀 명나라는 조선에게 구원병을 보내라고 요청합니다. 하지만 당시 왕이었던 광해군은 명나라와 후금사이에 어느 편에도 들지 않겠다는 중립외교를 실시합니다. 그리하여 후금과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신들중에는 이런 광해군의 정책을 비판하는 무리들이 있었는데 그들이 광해군을 내쫓고 인조를 왕위로 올립니다. 

  그러자 후금은 자신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던 왕이 하루 아침에 폐위되자 이를 구실로 침략을 해 옵니다. 1827년 정묘년에 일어났다 하여 정묘호란이라고 부릅니다. 후금은 말을 타고 빠르게 이동하여 인조를 잡으러 단 며칠만에 평양까지 당도합니다. 이에 위기를 느낀 인조는 강화도로 피난을 갑니다. 평양에서 관군과 의병들이 격렬하게 저항을 하자 후금도 머뭇거릴 수 밖에 없었습니다. 특히 아직 명과의 전쟁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태라 후금도 끝까지 진격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배후의 위협이 있어 언제까지 조선에 있을 수 없던 후금은 조선과 형제 관계를 맺고 조선과 명이 적대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화의를 맺어 후금은 물러납니다. 그리고 후금에게 많은 공물이나 물자를 제공합니다. 조선은 이때문에 경제적 어려움이 많아졌습니다. 이런 부담감으로 배금의 정책을 고수하게 됩니다. 후금이 물러간 후에도 인조는 친명배금정책을 고수합니다. 하지만 후금은 더욱 더 강성해지고 명나라는 점점 힘을 잃어가고 있었습니다. 약 9년이 흐른 후 후금의 칸이었던 홍타이지는 자신을 황제로 높이고, 국호를 후금에서 청나라로 바꿉니다. 그러면서 조선에게 이제는 청나라를 형제의 나라가 아닌 군신 관계로 요구합니다. 그리고 조선과 싸워 본 후금은 조선도 별거 아니라는 생각을 하며 여러 가지 요구를 합니다. 

 - 조선은 우리에게 군사를 보내라.  - 조선은 금이 많이 난다고 하니 금을 보내라.   - 조선은 말이 좋다고 하니 우리들에게 말을 보내라. 등등등

  그러나 인조는 청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습니다. 홍타이지는 화가 슬슬 나기 시작하며 세자를 인질로 보내고 아버지의 나라로 섬기라고 최후 통첩 합니다. 상황이 이렇게 전개되자 조선의 조정에서는 청나라와 끝까지 싸우자는 척화파, 청나라와 화해해야 한다는 주화파로 나뉘게 됩니다. 척화파는 '아직은 명나라가 있는데 어찌 청나라 같은 오랑캐와 화친을 하는가? 끝까지 싸우자'라고 주장합니다. 주화파는 일단은 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여 훗날을 도모하자라며 화친을 주장합니다. 인조는 고민에 빠져 깊은 생각을 하다가 척화파의 의견을 따르고 조선은 청과의 전쟁 준비를 합니다. 그러자 1836년 겨울에 강물이 언 틈을 이용하여 청나라는 말을 타고 한양으로 진격합니다. 이것이 병자년에 일어난 병자호란입니다. 황제였던 홍타이지가 조선이 친명배금을 고수하자 조선왕을 당장 끌고오라고 불호령을 내린 것입니다. 순식간에 청나라는 한양 근처까지 진격해 옵니다. 인조는 또 강화도로 피난가려 했지만 이미 청나라가 길을 막아 버려 어쩔 수 없이 남한산성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청의 군대가 남한산성에 도착하여 보니 그곳은 전부 막혀 있어 포위만 잘하고 있으면 식량부족 등의 문제로 조선이 항복할 것이라 생각하였습니다. 

  남한산성 안에서도 척화파와 주화파가 서로 다른 주장을 합니다. 척화파는 명나라는 임진왜란 때 우리를 도와준 고마운 나라인데 어찌 청나라를 임금의 나라로 섬길 수 있느냐 하며 계속적인 항전을 주장합니다. 그리고 아직 관군들이 건재하고 삼남 이남의 의병과 관군들이 곧 인조를 구하러 올 것이니 충분히 이겨낼 수 있다고 주장한 것입니다. 주화파는 명나라는 우리를 도와준 고마운 나라이지만 명분만으로는 나라를 지킬 수 없으니 항복을 하여 나라의 안전을 도모하고 후일을 기약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척화파의 생각대로 4만 여명의 관군이 남한산성 근처까지 인조를 구하러 오긴 옵니다. 하지만 청나라 기병 고작 3백명에게 패퇴하고 맙니다. 또 분노게이지가 엄청 높아진 홍타이지가 30만 대군을 이끌고 조선으로 들어온다는 소문까지 퍼지자 인조는 더이상 버틸 힘 없이 항복하기로 합니다.

  인조는 임금의 옷을 벗고 푸른 색 옷으로 갈아입은 후 47일만에 성밖으로 나옵니다. 그러나 화가 단단이 난 청나라 황제는 인조에게 굴욕적인 행동을 하라고 시킵니다. 무릎을 꿇고, 이마를 땅에 박는 치욕적인 항복 의식을 시킨 것입니다. 우리 역사에서 수많은 전쟁이 있었지만 우리나라 왕이 다른 나라 왕에게 항복을 하며 머리를 조아린 경우는 없었습니다. 

  한 나라의 지도자가 이렇게 무능하면 백성들은 참담한 현실에 놓이게 된다는 것을 병자호란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병자호란 때 얼마나 많은 백성들이 죽었으며 고통을 받았는지 역사가 말해 주고 있습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신을 똑바로 차려야 되겠습니다.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통신사  (0) 2018.05.02
환향녀의 비애  (0) 2018.04.28
조선에 귀화한 여진족과 명나라 사람들  (0) 2018.04.22
덕수궁을 지켜라  (0) 2018.04.17
선비의 교만함  (0) 2018.04.14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