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수리 아들인 영조 왕위에 오르다

반응형

 영조는 숙종과 숙빈 최씨의 아들입니다. 숙종의 부인은 인경왕후 김씨, 인현왕후 민씨, 인원황후 김씨, 희빈 장씨, 숙빈 최씨인데 이 중에서 아들이 있었던 부인은 희빈장씨와 숙빈 최씨입니다. 우리들이 사극에서 많이 봤던 것이 인현왕후 민씨와 장희빈 사이에서 있었던 권력의 암투입니다. 당시 서인들은 인현왕후 민씨를 지지하였고, 남인들은 장희빈을 지지하였습니다. 인현왕후 민씨가 중전의 자리에 있을 때는 서인들이 집권하고, 장희빈이 중전이 되었을 때는 남인들이 집권하며 서로 권력 다툼을 하였습니다. 이렇게 환국정치로 서로 정권을 잡으려고 피튀기는 경쟁을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갑술환국 때 장희빈이 강등되고 인현왕후 민씨가 중전으로 복귀하면서 남인들은 정계에서 힘을 잃게 되고 서인들이 집권하는 세상이 됩니다. 

  그런데 서인들도 소론과 노론으로 세력이 분리됩니다. 소론은 희빈 장씨 소생 경종을 지지하는 집단입니다. 아무리 희빈 장씨가 폐비되고 사약을 먹었지만, 그동안 정상적으로 세자자리에 있었던 경종을 왕위에 올려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노론은 숙빈 최씨 무수리의 소생이던 연잉군을 지지하는 집단입니다. 경종은 사사된 장희빈이 아들이고, 만약에 경종이 왕위에 오르면 연산군처럼 폭군이 되지 않겠느냐 하고 연잉군을 왕위에 올려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인현왕후 민씨가 세상을 뜨자 숙종은 인원왕후 김씨를 중전으로 맞이하였는데 인원왕후도 연잉군을 지지합니다.

  노론은 정권을 잡으면서 연잉군을 왕위에 오르게 하려고 노력했지만 우여곡절 끝에 경종이 왕위에 오릅니다. 경종은 왕위에 오르긴 올랐지만 그 집권 세력은 모두 자신을 지지하지 않는 노론세력들이었고 소론은 정말 적은 수의 사람들만 있었습니다. 바늘방석에 앉은 느낌의 왕좌였습니다. 노론들도 경종이 왕위에 있어도 별로 큰 걱정을 하지 않았습니다. 경종은 왕권만 가지고 있지 나머지 권력은 모두 노론들이 틀어쥐고 있었으니까요. 경종 또한 몸 건강이 좋지 않아 권력욕도 없을 뿐더러 무기력한 왕이었습니다. 그래서 노론들은 모험을 합니다. 자신들의 권력을 확실히 지키고 경종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계략을 세웁니다.

  먼저 경종 집권 1년 정도 지난 후 세제 책봉을 건의한 것입니다. "전하께서는 몸 건강이 좋지 못하니 혹시 뭔 일이라도 발생하면 큰일입니다. 이에 세제를 책봉하시어 이를 대비해야 합니다." 이렇게 정말 무엄하게도 안하무인격으로 경종에게 건의합니다. 세자 건저 문제는 정말 목숨을 걸고 건의해야 할 정도로 중대한 문제입니다. 특히 경종의 나이는 30대 팔팔한 젊은 나이였습니다. 정상적인 신하라면 경종에게 득남을 하여 조정의 안위를 지켜야 한다고 건의해야 하는데 이들은 젊디 젊은 경종에게 세제 문제를 건의한 것입니다. 그 세제가 누구나 하면 자신들이 지지하던 경종의 이복동생 연잉군을 세우라고 건의한 것입니다. 선조 때에 정철이 건저 문제로 임금께 아뢰자 선조가 불같이 화내며 정철을 귀양보낸 것처럼 경종도 그렇게 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경종은 정말 순순이 노론의 요구를 들어줍니다. 노론들도 이렇게 쉽게 풀리리라고 생각하지 못했는데 너무 쉽게 들어주니 어안이 벙벙했습니다.

  그 다음 세제 책봉 후 보름정도 지난 후 다음 계획을 세웁니다. "전하께서는 몸 건강이 좋지 못하니 세제에게 대리청정 시키심이 어떠하십니까?" 이렇게 건의합니다. 정말 무리한 요구가 아닐 수 없습니다. 분명히 경종이 반대하고 나올 것이므로 그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한 후 대리청정 문제를 거론할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도 정말 순순이 경종이 윤허합니다. 경종은 "나는 몸이 좋지 못하니 병간호나 하겠다. 정치는 연잉군이 대리청정하도록 해라"라고 이야기합니다. 노론들은 정말 이게 꿈인가 생시인가 하며 좋아하면서도 경종이 무슨 꿍꿍이가 있어서 저러는 것인지 걱정을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소론이 나섭니다. 소론들은 "전하께서 아직 정정하신데 세제를 책봉하는 것이 어찌 말이 됩니까? 그것도 부족해서 세제에게 대리청정을 시키신다는 것은 천부당만부당한 말씀이시옵니다. 그리고 전하께서 세제에게 대리청정 시키신다고 하신 것을 저 간악한 노론들은 반대도 하지 않고 어찌 한방에 넙죽 받아 먹습니까? 당연히 신하된 도리라면 대리청정을 일반 사양하는 것이 예의가 아닙니까? 거두어주십시오."

  소론의 말을 들은 경종은 "그래, 소론들의 말이 맞는 것 같구나. 나는 대리청정을 한다는 것을 취소하겠다."라고 공표합니다. 거의 다 되었다고 생각한 노론들이 경종의 공표에 크게 당황합니다. 임금을 허수아비로 만들려고 했다는 죄목아래 노론들이 하나 둘씩 제거됩니다. 그 자리에 소론세력들이 들어섭니다. 아버지 숙종의 환국정치 기술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었습니다. 드디어 소론이 주류를 이루는 정치를 실현된 것입니다. 

  또 노론 세력을 초토화 시키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바로 목호룡의 고변 사건입니다. 목호룡은 남인계열의 서얼 출신입니다. 남인이것고 모자라 서얼이니 완전 정치 권력에서 멀리 떨어진 사람입니다. 그래서 어떻게든 출세해 보려고 노론층의 자녀들과 친하게 지냈습니다. 그러면서 경종을 제거할 수 있는 세 가지 수법을 제시합니다.  그 수법은 [대급수-자객이 대궐 담을 넘어 들어가 칼로 해치운다. 평지수-궁인을 시켜 독살시킨다. 소급스-대궐을 봉쇄하고 가짜 폐위교지로 강제 폐출시킨다.] 라는 계략이었습니다. 하지만 무슨 이유인지 알 순 없지만 목호룡과 노론과의 불화가 생겨 목호룡이 역모를 고변합니다. 이 사건을 세가지 방법으로 역모를 꾀하였다 하여 삼수의 역으로도 불리우는데 이 사건으로 노론 핵심 인물의 자제들이 국문을 받고 사형에 처해지게 됩니다. 삼수의 역의 핵심인물과 자객으로 고용될 사람이 연잉군을 지지하는 사람이었고, 만약 역모를 했으면 왕위에 올릴 수 있는 사람이 누가 봐도 연잉군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연잉군은 역모사건의 핵심인물이 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당연히 연잉군은 역모사건의 책임을 물어 귀양을 보내거나 사약을 내려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경종은 연잉군을 살려둡니다. 연잉군을 죽이면 다음 번 왕위를 누가 이을 것인가? 현실적으로 왕실 사람은 연잉군밖에 없어 끝까지 연잉군을 보호해 준 것입니다. 기적적으로 연잉군이 살아남은 것입니다.

  경종은 재위기간 내내 건강이 좋지 못했습니다. 재위기간 후반부에는 점점 밥맛도 없어지고 무기력해집니다. 이에 연잉군은 형님의 건강을 염려해서인지 밥도둑이라는 간장게장을 경종에게 올립니다. 그리고 후식으로 생감을 올렸습니다. 정말 그날은 경종이 입맛이 땡깁니다. 그리하여 간장게장과 밥을 맛있게 먹었습니다. 후식으로 생감도 잘 먹었습니다. 그런데 그날 배탈이 나버렸습니다. 며칠동안 심한 설사로 인해 기력이 소진되었습니다. 어의들이 약을 지어 올렸어도 차도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에 연잉군이 기력이 좋지 않을 때는 인삼이 최고이니 인삼을 올리는 것이 어떠냐고 이야기 합니다. 하지만 어의 이공윤은 자신이 처방한 약을 드시고 있는데 인삼까지 올리면 부작용으로 기력이 더 쇠약해질 수 있으니 절대 안된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연잉군은 의술을 몰라도 인삼을 쓰면 좋다는 그 정도는 알고 있으니 빨리 인삼을 지어 올리라고 이야기합니다. 당시 소론이었던 이광좌도 연잉군의 말에 동의합니다. 인삼을 먹은 경종은 일시적으로 건강을 되찾습니다. 하지만 얼마 못가 갑작스럽게 경종은 세상을 뜨고 말았습니다.

  경종이 세상을 뜨자 무수리의 아들이었고, 경종과 권력 다툼이 있었고, 삼수의 역으로 거의 죽을 뻔했던 연잉군은 정말 정말 운이 좋게 왕위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그가 바로 사도세자의 아버지 영조입니다. 이렇게 수많은 우여곡절 끝에 왕위에 오른 영조이기에 그에게는 컴플렉스가 많았습니다. 이런 컴플렉스가 있었기에 사도세자의 비극이 잉태되었지 않았나 합니다.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마지막 옹주 덕혜  (0) 2018.05.10
사도세자의 죽음  (0) 2018.05.06
조선 통신사  (0) 2018.05.02
환향녀의 비애  (0) 2018.04.28
인조 삼전도의 굴욕  (0) 2018.04.23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