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냐? 종이냐? 그렇다면 백성들의 이름은?

반응형

<사후에 정해지는 묘호>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성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조선 27대왕들의 이름을 국사시간에 외웠던 경험이 대부분 있을 것입니다.  조선 왕들의 이름은 잘 기억하는데 고려나 삼국시대 왕들은 외우기가 어려운 이유를 잘 모르겠네요. 노력 부족...아니면 조선시대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아서... 하여간 조선 시대 왕들의 이름에는 조, 종, 군이 붙습니다.

조선 왕들은 죽어서 왕의 이름을 받게 되는데 이것을 묘호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묘호란 왕이 돌아가신 후 왕의 공덕과 업적을 기리어 합당하게 붙이는 이름을 말합니다. 그리고 종묘에 모십니다.

생전에 임금의 이름은 외자였습니다. 세종대왕은 이도, 정조 이산 등등. 왕의 이름이 들어간 글자는 사람들이 사용하기 어려웠습니다. 아니 사용하지 않아야 된다는 것이 옳을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왕의 이름은 외자이고, 그것도 잘 쓰이지 않는 글자로 이름을 지었지요. 

<조냐? 종이냐? 군이냐?>

그럼 지금부터 묘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창업지군의 칭호를 받는다.

  - 태조는 개국한 왕들의 묘호에 붙입니다. 고려의 태조 왕건, 조선의 태조 이성계(이성계의 외자 이름으로 이단)가 그 예가 됩니다.
  • 부자간 왕통을 계승하면 의 칭호를 받는다.

  • 세자가 아닌 자가 왕이 되면 의 칭호, 세자가 계승하면 의 칭호를 받는다.

  -세조의 예에서 세자가 아닌 수양대군이 왕이 되어 세조의 묘호를 받습니다.
  • 왕을 하다가 폐위되면 이라 칭한다.

  -연산군, 광해군
  • 공이 있는 왕에게는 , 덕이 있는 왕에게는 이라 칭한다.

  -조선 중기, 후기로 오면서 선왕의 이름을 높여 자신의 왕권 강화와 정당성을 높이고자 종 보다는 조를 더 높게 보고 선호하였습니다. 
예) 선종을 선조로, 영종을 영조로, 정종을 정조로, 순종을 순조로 묘호를 후대에 바꿉니다. 이유는 위에서 말했듯이 선왕의 이름을 높여서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지요.
 조의 묘호를 받는 조선 국왕은 모두 7명인데(태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그중 세조와 인조에게 조의 묘호를 부여한 뜻이 있습니다. 그것은 세자가 아닌 사람이 왕위에 오른 이유도 있겠지만 더 큰 이유는 왕위 찬탈을 한 왕들에게 정당성을 부여하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백성의 이름은>

당시 사람들은 이름은 소중한 것이므로 함부로 불리어져서는 안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태어나자마자 지어 주는 초명, 성년이 되기 전까지 부르는 아명을 지었습니다. 귀한 집 자식은 저승사자가 빨리 데려간다는 생각이 있어 양반가나 왕가에서는 천한 이름(개똥이 등)으로 부르기도 했습니다.

남자가 성년이 되어 관례를 치르면 <자>를 지어 사용합니다. <자>는 동년배끼리, 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부를때 흔히 사용합니다.

또 <호>라는 것이 있는데 위아래 구분없이 누구나 부를 수 있었고 작명도 자유롭게 지어 쓸 수 있었습니다.

여성과 일반 백성들은 태어날 때 지은 초명만을 사용하였습니다. 여성들은 결혼하면 김씨, 박씨 등으로 불리며 평생을 이름없는 사람으로 살아갔습니다.

오늘날에는 현실 세계에서는 이름을 사용하고, 가상 세계(인터넷)에서는 닉네임을 사용하고 있지요.

이름은 사람의 정체성은 나타내는 중요한 것입니다. 때에 따라서는이름이 좋아야 출세를 한다는 말도 있습니다. 그래서 절차가 복잡한데도 개명을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태어날 때 부모님께서 주신 소중한 이름. 이 이름을 후세에 날리는 이름이 되지는 못할지라도 최소한 이름에 걸맞게 노력하는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흥선대원군 이하응  (0) 2018.04.05
최용덕 장군의 나라사랑 정신  (0) 2018.03.21
당장 사형 집행을 멈추어라!  (0) 2018.03.16
조선에서 가장 팔자 좋은 여인  (0) 2018.03.16
해인사 팔만대장경  (0) 2018.03.15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