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담도암과 민물고기 생식의 위험성

반응형

우리나라 담도암과 민물고기 생식의 위험성

우리나라는 담도암 사망률이 세계 1위입니다.  'Gastro Help Advances'에 발표된 최근 논문에 따르면, 우리나라 담도암 사망자 수는 10만명 중 11.6명으로, 일본 7.4명, 체코 6명봐 훨씬 많습니다. 2022년 암 등록통계를 살펴보면, 담도암의 5년 상대 생존율은 29%로, 이는 폐 36.8%와 간 38.7%에 비해 높지 않습니다. 가장 낮은 생존율을 봉니 암은 췌장암으로 15.2%입니다. 담도암과 담관암의 높은 사망률의 배경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확실한 원인은 간흡충 감염입니다.

 

1. 간흡충 감염된 민물고기 조사

2022년 질병관리청은 간흡충 감염 비율이 높은 민물고기가 사는 곳을 조사했습니다. 조사 지역은 원주시 섬강, 철원군 토교 저수지, 산청군 덕천강, 하동군 횡천강, 안동시 길안천, 청송군 용전천, 구례군 섬진강, 곡성군 섬진강, 순창군 섬진강, 영동군 영동천 등 10개 지역에서 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감흡충 숙주는 돌고기, 참붕어 등 자연산 민물고기입니다. 약 36종의 민물고기 1069마리를 채취하여 간흡충 피낭유충 감염률을 조사했습니다. 피낭유충이란 두꺼운 주머니 속에 있는 유충 감염원입니다.

 

 

 

모르면 받지 못하는 정부지원금 보조금 24에서 확인하기

정부지원금은 어디에서 알아보고 신청할 수 있을까요? 아래 내용을 읽어 보시고 내가 받을 수 있는 보조금을 확인해 보십시오. 코로나 이후 수입이 변변치 않아 사람들은 정부 지원금에 관심이

www.chohsys.net

 

2. 지역별 간흡충 감염률 조사 결과

10개 지역에서 잡은 민물고기를 조사한 결과 경북 청송군 용전천에서 잡은 민물고기 중 50%에서 피낭유충이 검출되었습니다. 이어서 안동시 길안천 49%, 철원군 토교저수지 18%, 원주시 섬강 11%, 산청군 덕천강 7%, 곡성군 섬진강 6%, 영동군 영동천 4%, 구례군 섬진강 2%로 조사되었습니다. 반면, 하동군 횡천강과 순창군 섬진강에서는 피낭유충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3. 민물고기 종류별 평균 감염 정도

각 지역의 민물고기에서 검출된 간흡충의 평균 감염 정도를 분석을 하였습니다. 그 결과, 안동의 길안천의 민물고기가 평균 62.3개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 외에도 용전천 40.3개, 토교 저수지 21.6개, 덕천강 1.9개 순으로 높은 감염 위험도를 보였습니다. 그외 다른 지역은 감염위험도가 평균 1 이하였습니다.

4. 간흡충 피낭유충 수

 민물고기 1마리에서 조사된 간흡충 피낭유충은 최소 1개에서 최대 1258개나 감염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가장 많은 것은 돌고기 1,258개, 몰개 962개, 돌마자 891개, 참붕어 592개, 납자루 267개 순으로 피낭유충 수가 검출되었습니다.

 

5. 간흡충 감염의 변화

2021년 대비 감염 위험도가 가장 많이 올라간 곳은 청송군 용전천이었습니다. 이에 청송군 용전천 인근 주민들은 간흡충 감염률이 평균보다 크게 높았다는 것이 질병청의 분석 결과입니다. 안동시 길안천 지역 주민들의 감염률도 21년 27.9%, 22년 14.9%로 높습니다. 철원군 토교저수지도 많이 간흡충이 많이 올랐습니다. 그러나 이 지역 주민들은 민물고기 생식을 거의 하지 않아 인체 감염률은 매우 낮게 조사되었습니다.

6. 전문가 의견과 주의사항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이규택 교수는 "간흡충에 감염되면 담도 내에서 기생하며 만성염증을 일으키고 암으로 진행될 수 있으니 민물고기를 생식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말했습니다.

7. 담도암 예방과 주의사항

민물고기를 날로 먹는 것과 간흡충 감염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특히 저수지 지역 주민들은 유의해야 합니다. 민물고기는 날로 먹지 말고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합니다. 간흡충 위험지역에 사는 지역의 주민들은 주기적인 검진과 치료로 병이 진행되는 것을 예방해야 합니다.

 

간흡충은 담도암 발생을 높이는 위험요인입니다. 건강하게 삶을 살아가려면 날로 민물고기 생식을 하지 않아야 하며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